Rock Will Never Die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Rock Will Never Die는 부활의 음반으로, 김태원과 이지웅의 트윈 리드 기타 시스템이 변화를 겪으며 이지웅의 비중이 줄어들었다. 이지웅은 자존심에 상처를 입고 탈퇴하여, 이승철과 김태원을 제외한 모든 멤버가 교체되었다. 음반 속지에는 "라우드니스를 지옥으로 보내주겠다"는 문구가 실렸는데, 이는 매니저 백강기가 홍보를 위해 작성한 것이다. 수록곡으로는 '희야', '비와 당신의 이야기', '너뿐이야', '길가의 연인들', '인형의 부활', '슬픈 환상', '사랑 아닌 친구', '사랑의 흔적'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부활의 음반 - 이상 시선
부활의 6집 앨범인 이상 시선은 1997년에 발매되었으며, 김기연이 보컬을 맡았고 김태원, 정준교, 채제민, 최승찬 등이 참여했고, 다양한 연주곡들이 수록되어 시나위, 그린 페이스 등과 관련되어 있다. - 부활의 음반 - 기억상실 (음반)
부활의 세 번째 정규 음반 《기억상실》은 김태원이 작곡 및 편곡을 맡고 김재기가 참여한 마지막 앨범으로, 그의 사망을 추모하는 의미를 담은 곡들과 대표곡 〈사랑할수록〉이 수록되어 1994년 골든디스크 본상을 수상했다. - 1986년 데뷔 음반 - Licensed to Ill
Licensed to Ill은 비스티 보이즈의 데뷔 스튜디오 앨범으로, 평단의 호평과 상업적 성공을 거두며 빌보드 200 차트 1위를 차지하고 다이아몬드 인증을 받았으며, "Fight for Your Right" 등의 히트 싱글을 통해 힙합 역사에 중요한 앨범으로 평가받는다. - 1986년 데뷔 음반 - New Kids on the Block
뉴 키즈 온 더 블록의 데뷔 앨범인 "New Kids on the Block"은 "Stop It Girl" 등의 트랙을 담고 있으며 캐나다 앨범 차트 17위, 빌보드 200 25위를 기록하고 캐나다, 미국, 영국에서 각각 트리플 플래티넘과 골드 인증을 받았다. - 1986년 음반 - 천공의 성 라퓨타
미야자키 하야오 감독의 스튜디오 지브리 애니메이션 영화 《천공의 성 라퓨타》는 하늘에 떠 있는 전설의 섬 라퓨타를 찾아 떠나는 시타와 파즈의 모험을 그린 작품으로, 첨단 과학 기술과 자연의 조화, 순수함과 탐욕의 대비되는 주제를 다룬다. - 1986년 음반 - Bedtime for Democracy
데드 케네디스가 1986년에 발표한 네 번째 앨범인 Bedtime for Democracy는 젤로 비아프라를 포함한 멤버들이 작사 및 제작에 참여한 21곡이 수록된 앨범으로, 영국 인디 차트 1위를 기록하고 비평가들로부터 엇갈린 평가를 받았다.
Rock Will Never Die - [음악]에 관한 문서 | |
---|---|
음반 정보 | |
가수명 | 부활 |
![]() | |
발매년월일 | 1986년 10월 3일 2004년 7월 29일 (재발매) |
포맷 | LP, TAPE CD (재발매) |
음반 종류 | 정규 음반 |
녹음 | 서울 스튜디오 |
장르 | 헤비 메탈, 록 |
길이 | 39:01 |
유통사 | 서울음반 |
프로듀서 | 김태원 |
현재 음반 | Rock Will Never Die (1986년) |
다음 음반 | 부활 Ⅱ: Remember (1987년) |
2. 배경
이 음반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이승철과 김태원을 제외한 멤버 전원이 교체되는 등 밴드 내부에 큰 변화가 있었다.
음반 속지에는 당시 경복고등학교 3학년이었던 이호석 학생의 이름으로 "라우드니스를 지옥으로 보내주겠다"는 다소 도발적인 문구가 적혀 있다. 이호석은 신해철의 친구로, 신해철과 함께 부활을 따라다니던 팬이었다고 한다. 그러나 부활의 매니저였던 백강기의 회고에 따르면, 이 문구는 이호석이 쓴 것이 아니라 백강기 본인이 직접 작성한 것이라고 한다. 백강기는 김태원이 문구가 너무 과격하다며 반대했지만, 홍보 효과를 위해 자극적인 문구가 필요하다고 주장하여 결국 속지에 싣게 되었다고 밝혔다.
2. 1. 멤버 변화
이 음반을 기점으로 이전까지 유지되었던 김태원과 이지웅의 트윈 리드 기타 체제는 균형이 깨지며 이지웅의 역할이 상대적으로 축소되었다. 그럼에도 음반 전곡에 걸쳐 이지웅 특유의 태핑 연주를 포함한 화려한 기타 솔로가 담겨 있으며, 김태원의 속주가 돋보이는 〈인형의 부활〉 같은 곡에서도 그의 간주 파트가 포함되어 있다.이지웅은 팀 내 최연장자였고, 부활 최초의 자작곡인 〈사랑 아닌 친구〉(당시 제목이 없어 '부활 1'로 불렸다)를 작곡했으며, 기타 연주 기술 면에서는 김태원보다 앞선다는 평가를 받기도 했다. 그러나 이 음반 녹음 과정에서 그는 음악적 역할 축소 등으로 인해 자존심에 큰 상처를 입었고, 이는 결국 그의 밴드 탈퇴로 이어졌다.
이지웅이 떠난 후, 새로운 기타리스트 대신 키보디스트 서영진이 합류했으며, 베이스에는 정준교, 드럼에는 김성태가 새롭게 영입되었다. 결과적으로 이승철과 김태원을 제외한 모든 라인업이 교체되는 큰 변화를 맞이했다. 한편, 부활을 탈퇴한 이지웅은 이후 임재범과 함께 밴드 외인부대를 결성하여 활동을 이어갔다.
2. 2. 음악적 변화
이 음반부터 이전까지 이어져 왔던 김태원과 이지웅의 트윈 리드 기타 시스템은 균형이 깨지면서 이지웅의 비중이 줄어들기 시작했다. 그럼에도 앨범 전곡에서는 그의 장기인 태핑 연주를 비롯한 화려한 솔로가 등장하며, 김태원의 속주가 돋보이는 〈인형의 부활〉 같은 곡에서도 그의 간주 파트가 포함되어 있다.하지만 팀 내 최연장자였고, 부활 최초의 자작곡이자 강변가요제 예선 탈락곡인 〈사랑 아닌 친구〉(당시에는 제목이 없어 '부활 1'로 불렸다)의 작곡가였으며, 연주 기술 면에서는 김태원을 앞선다는 평가도 있었던 이지웅은 이 음반 녹음 과정에서 자존심에 큰 상처를 입었다. 이는 결국 이지웅의 탈퇴로 이어졌다.
이지웅의 탈퇴 후, 기타리스트 대신 키보디스트 서영진이 합류했으며, 베이스에는 정준교, 드럼에는 김성태가 새로운 멤버로 들어왔다. 이로써 보컬 이승철과 기타 김태원을 제외한 모든 멤버가 교체되었다. 이지웅은 이후 임재범과 함께 밴드 외인부대를 결성하여 활동했다.
3. 음반 제작 과정
(내용 없음)
3. 1. 녹음 비화
〈희야〉의 도입부 종소리는 김태원이 기타로 만들어낸 소리이다.3. 2. 음반 속지 문구 논란
음반 속지에는 "라우드니스를 지옥으로 보내주겠다"는 패기 넘치는 문구가 적혀 있다. 이 문구는 당시 경복고등학교 3학년 학생이었던 이호석이 쓴 것으로 알려졌는데, 그는 신해철의 친구였으며 신해철과 함께 부활을 따라다니던 팬이었다.그러나 훗날 부활의 매니저였던 백강기의 회고에 따르면, 해당 문구는 이호석이 아닌 백강기 본인이 직접 작성한 것이라고 한다. 김태원은 이 문구가 창피하다며 음반에 싣는 것을 말렸지만, 백강기가 홍보를 위해서는 이런 자극적인 문구가 필요하다고 주장하여 결국 넣게 되었다고 밝혔다.
4. 수록곡
이 음반은 Side A와 Side B로 구성되어 있다. Side A의 총 재생 시간은 19분 2초이며, Side B의 총 재생 시간은 19분 59초이다.
4. 1. Side A
총 재생시간은 19분 2초이다.- 〈희야〉의 도입부에 나오는 종소리는 김태원이 기타를 이용하여 만들어낸 소리이다.
4. 2. Side B
총 재생 시간: 19:59
5. 참여 음악인
(내용 없음)
5. 1. 세션
5. 2. 제작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